1주차 월요일 학습내용

2023. 4. 24. 18:26TIL

변수 :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 

원래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거나 읽을때 주소를 사용해야하는데 그게 너무 귀찮다보니

메모리 영역에 이름을 붙이고 주소 대신에 그이름을 사용하는 것  그것이 바로 변수

 
1byte = 8bit
 
 
변수 규칙
1.길이 제한 x
2.숫자로 시작 불가
3._,$ 이 두개의 특수문자만 사용가능
 

상수 : 한번만 값이 저장 가능한 변수

final 이용하여 선언한다

리터럴 : 그 자체의 값 

EX) final int a = 5;

       int b=10;

여기서 변수는 b

            상수는 a 

            리터럴은 5,10

 

접미사 : 리터럴 뒤에 붙는 문자 같은 존재

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정수형,실수형 이 두개만 기억하면 된다

정수형에서 long 실수형에서 float

EX) long a = 5L;

      // 근데 int 범위 넘지 않으면 L 생략해도 된다.

       float b = 5.0f

 

double 도 접미사를 쓰는데 float에서만 쓰기로 약속해서 double에서는 쓸 필요 없다

int ob = 0b0101; // 2진수, 접두사 0b
int i = 100; // 10진수
int oct = 0100; // 8진수, 접두사 0
int hex = 0x100; // 16진수, 접두사 0x

오버플로우 : 선언하는 종류에 따라 정해진 범위가 있는데 그 범위가 넘어갔을때를 말하는것

 

short : -32768 ~ 32767 범위가 이렇게 된다

short a =32767

System.out.println(a+1);

결과 : -32768

 

타입간의 변환 방법

문자에서 숫자로의 변환

'0' = 48의 값을 가짐

int a=5;

System.out.println('0'+a);

결과 : 53('0'이 48의 값이고 a의 리터럴 값이 5이기 때문에 53이 된것)

int a=50;

System.out.println((char)('0'+a));

결과 : b('0'+a의 값이 98이 때문이다 연산결과 char(98)이렇게 되었고 아스키코드에서 98의 값은 b이 때문에 출력 결과가 b가 나오게 된 것 )

 
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230503  (0) 2023.05.03
20230502 TIL  (0) 2023.05.02
20230501  (0) 2023.05.01
20230427 TIL  (0) 2023.04.27
20230425 TIL  (1) 2023.04.25